카테고리 없음

을사늑약과 국권 상실

똑소리동동 2025. 8. 11. 10:00
반응형

을사늑약과 국권 상실

– 조선, 역사 속에서 사라지다

1905년부터 1910년까지의 5년은 한민족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시간이었다.
조선(대한제국)은 외세에 의해 주권을 점점 빼앗기고, 마침내 일제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하게 된다.
특히 1905년에 체결된 **을사늑약(乙巳勒約)**은 그 시작이자, 역사상 가장 굴욕적인 조약으로 남아 있어.

일본 외교관들이 조선 관료들에게 조약 문서를 강제로 서명시키는 모습


1. 을사늑약이란 무엇인가?

  • 공식 명칭: 제2차 한일협약
  • 체결일: 1905년 11월 17일
  • 장소: 덕수궁 중명전
  • 내용: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일본에 완전히 넘기는 조약

이 조약은 고종의 승인 없이 체결되었으며,
당시 황제를 협박하고 강제로 서명을 받은, 말 그대로 **"강제적 외교권 박탈"**이었어.
그래서 ‘늑약(勒約)’이라는 표현을 쓰지. ‘강제로 맺은 조약’이라는 뜻이야.


2. 을사늑약 체결 과정

일본의 움직임

  •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을 본격적으로 장악하기 시작
  • 미국과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통해 조선 지배에 대한 미국의 묵인을 얻음
  • 영국과도 영일동맹을 강화하며 국제적 지지 확보

대한제국 내부

  • 고종은 끝까지 조약에 반대했지만
  • 이완용, 이근택, 박제순, 이지용, 권중현 등 5적(을사오적)이 일본의 압박에 굴복
  • 중명전에서 조약 체결이 강행됨

고종은 끝내 조인하지 않았고, 조약 원본에도 황제의 어새(도장)는 없음


3. 국제적 외교 노력과 실패

고종의 ‘헤이그 밀사 파견’ (1907)

  •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네덜란드 헤이그의 만국평화회의에 밀사(이준, 이상설, 이위종) 파견
  • 하지만 국제사회는 이를 외면했고,
    일본은 이를 구실로 **고종을 강제 퇴위(1907년)**시킴

4. 한일신협약과 군대 해산

  • 1907년, 정미7조약(한일신협약) 체결
    → 일본이 조선 내정까지 장악
  • 대한제국 군대 해산 → 이후 의병항쟁 본격화
  • 순종 즉위, 하지만 허수아비 황제로 전락

5. 한일병합조약과 조선의 멸망 (1910)

  •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 체결
  • 8월 29일 공포 → 대한제국, 일본 제국의 식민지로 전락
  • 이후 35년간의 식민 지배가 시작됨

6. 백성들의 저항과 의병운동

  • 을사늑약 이후부터 전국 곳곳에서 의병 봉기
    • 유생, 농민, 군인 출신 등 다양한 계층
    • 대표 인물: 신돌석, 최익현, 허위, 안중근
  • 의병은 점차 조직화되었지만,
    일본의 무력 진압과 내부 분열로 인해 큰 성과를 내지는 못함

→ 하지만 의병은 항일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 잡으며
이후 3·1운동, 독립군 운동의 기반이 됨


7. 마무리 및 느낀점

을사늑약은 조선이 스스로의 힘으로 주권을 지키지 못한 역사적 실패의 상징이야.
이 조약은 조선 내부의 부패, 외세 의존, 정치적 분열이 빚어낸 비극이자,
‘남의 나라가 되어버린 나라’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지.

하지만 그 안에서도 고종의 외교적 저항, 헤이그 밀사, 의병들의 항쟁
결코 우리 민족이 무기력하게 당하기만 한 존재는 아니었음을 말해줘.

이 시기를 돌아보며, 우리는 자주와 통합, 그리고
역사에서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다시금 되새겨야 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