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려 시대의 시작과 성립 과정 (918~1170)

똑소리동동 2025. 8. 16. 20:20
반응형

고려 시대의 시작과 성립 과정 (918~1170)

고려 시대는 918년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어 1392년 조선 건국까지 이어진 약 474년의 역사입니다. 고려의 성립은 단순한 왕조 교체가 아니라, 한반도의 정치·문화·사회 구조를 새롭게 정립한 사건이었습니다. 특히 중앙집권 체제 강화, 불교 국가의 성격, 대외 교역의 발전 등은 이후 한국사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조왕건

 


1. 고려 건국의 배경

후삼국 시대의 혼란

9세기 말 신라는 진골 귀족 중심의 정치가 붕괴하고, 왕권이 약화되면서 지방 호족 세력이 성장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궁예가 후고구려(태봉)를 세우고,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하며 후삼국이 대립하게 됩니다. 신라는 수도 경주를 중심으로 잔존 세력을 유지했으나, 실질적인 전국 통치력은 상실한 상태였습니다.

왕건의 등장

왕건은 송악(개경) 출신으로, 궁예의 부하 장수로 활약하다가 918년 궁예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그는 나라 이름을 고려로 정하고, 도읍을 송악에 두었습니다. 왕건은 호족과의 혼인 동맹, 포용 정책을 통해 세력을 넓혔고, 936년 신라와 후백제를 차례로 병합하며 후삼국을 통일했습니다.


2. 고려 초 왕권 강화와 제도 정비

태조 왕건의 정책

태조는 통일 이후 ‘훈요 10조’를 남겨 후대 왕들에게 정치적 지침을 제시했습니다. 여기에는 불교 숭상, 지방 호족 포용, 북진 정책 등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는 혼인과 관직 수여를 통해 호족을 포섭했고,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시켜 민심을 안정시켰습니다.

광종의 개혁

광종(949~975)은 과거제를 실시해 인재를 선발하고, 노비안검법을 시행해 호족의 경제 기반을 약화시켰습니다. 이로써 왕권이 크게 강화되었으며, 고려의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성종의 문치주의

성종(981~997)은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 이념을 국가 운영에 반영했습니다. 지방 제도를 정비하고, 중앙 관제를 확립했으며, 향리 제도를 마련해 지방 통제를 강화했습니다.


3. 고려의 대외 관계와 교역

송과의 교류

고려는 중국 송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문화와 기술을 받아들였습니다. 고려청자 제작 기술, 인쇄술, 유교 경전 등은 송과의 교역을 통해 발전했습니다.

거란(요)과의 전쟁

10세기 말부터 11세기 초까지 거란과 세 차례 전쟁을 치렀습니다. 서희의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했고, 강감찬의 귀주대첩으로 거란군을 격퇴하며 국경을 안정시켰습니다.


4. 고려 전기의 사회와 문화

불교 국가

고려는 국교로 불교를 채택했고, 왕실과 귀족은 불교 사찰 건립과 불경 간행에 힘썼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사찰 건립과 불사 비용은 국가 재정을 압박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귀족 중심 사회

고려 전기는 문벌 귀족 사회로, 중앙 관직과 토지를 세습하며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이들은 혼인 관계와 인척 네트워크로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했습니다.


5. 무신정변의 서막

고려 전기 말기에는 문벌 귀족의 권력 독점과 왕권 약화로 사회 불만이 커졌습니다. 특히 문신이 무신을 차별하는 정치 구조가 심화되면서 군부의 반발이 누적되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1170년 무신정변으로 폭발하며 고려 정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