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럼버스는 죽을 때까지 인도에 도착했다고 믿었다?
– 대륙을 발견하고도 대륙을 몰랐던 남자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했죠?”
“그런데 정작 본인은 그게 아메리카인지 몰랐다고요?”
“설마 진짜 인도라고 착각했어요?”
→ 그렇습니다. 끝까지 그렇게 믿었습니다.
콜럼버스는 대단한 항해가였지만,
놀랍게도 그가 평생 추구했던 목적지인 ‘인도’에는 절대 도달하지 못했으며,
자신이 발견한 신대륙이 인도가 아니라는 사실조차 믿지 않았습니다.
그가 왜 그렇게 믿었는지, 당시 시대적 배경과 함께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콜럼버스가 원한 건 ‘인도’
- 당시 유럽은 실크, 향신료, 금, 보석 등 아시아 무역에 집착하고 있었고
- 육로는 오스만제국에 막혀 있었기 때문에, 바다를 통해 인도로 가는 길이 필요했어요.
- 포르투갈은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인도로 가는 항로를 탐색 중이었고,
- 콜럼버스는 반대로 **“서쪽으로 항해하면 인도에 더 빨리 갈 수 있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
콜럼버스는 지구가 둥글다는 건 알았지만,
지구의 크기를 ‘심각하게’ 작게 계산했습니다.
→ 아시아는 생각보다 훨씬 멀었고,
→ 중간에 아메리카 대륙이라는 거대한 땅덩이가 있다는 것도 몰랐죠.
🛶 1492년, 항해는 성공했지만…
- 1492년, 스페인의 이사벨 여왕의 후원을 받아 콜럼버스는 서쪽으로 항해 시작
- 첫 상륙지는 현재의 바하마 제도
- 이후 쿠바, 히스파니올라(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 등지를 탐험하며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여기가 인도다! 여기는 일본 근처고, 여기는 중국 근처일 거야!”
→ 실제로 그는 원주민을 ‘인디오(Indios)’라고 불렀고,
→ 그 이름이 훗날 **인디언(Indian)**이라는 단어로 정착되었죠.
🧭 그런데 왜 끝까지 그렇게 믿었을까?
1. 📏 지구 크기에 대한 오판
- 콜럼버스는 지구의 둘레를 실제보다 약 30%나 작게 계산
- 그래서 아시아는 금방 도달할 수 있다고 착각함
2. 🗺 당시 지도와 지식의 한계
- 마르티넬리 지도 등 당시 자료에는 아메리카 대륙이 없음
- ‘유럽 → 대서양 → 인도’라는 지도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음
3. 🧠 자기 확신과 집착
- 평생 항해를 정당화해야 했고,
- 스페인 왕실에 “목표를 이뤘다”는 성과를 보여줘야 했기 때문에
→ 진실을 외면한 채 “나는 인도에 왔다”는 믿음을 고수한 것으로 보입니다.
🤔 남들은 몰랐을까?
콜럼버스가 죽고 수십 년 후,
**아메리고 베스푸치(Amerigo Vespucci)**라는 탐험가가
→ “여기는 인도나 아시아가 아니라 전혀 다른 신대륙이다”라고 선언
→ 훗날 **그의 이름을 따서 아메리카(America)**라는 이름이 붙게 됩니다.
📌 즉, 콜럼버스는 발견자는 맞지만, 진짜 신대륙이라는 건 몰랐던 셈.
⚰️ 콜럼버스의 마지막 말은?
- 1506년 사망
- 죽을 때까지도 “나는 인도 근처에 다녀왔다”고 믿었으며
- 신대륙을 발견했다는 인식은 없이 생을 마감
그에게 아메리카는 단지 인도 앞바다의 작은 섬일 뿐이었죠.
✅ 마무리 요약
- 콜럼버스는 평생 인도로 가는 항로 개척을 꿈꾸었고
- 실제로는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지만,
- 죽을 때까지 그 땅이 인도 근처라고 믿었다
- 이는 당시 유럽인의 지도 지식 부족, 자기확신, 정치적 이유 등이 복합된 결과였음
- 그의 착각 덕분(?)에 신대륙이 ‘인디언’, ‘웨스트 인디스’ 같은 이름으로 불리게 됨
✍️ 내 생각
콜럼버스 이야기는 우리에게 “발견”과 “이해”는 다르다는 걸 알려주는 것 같아요.
그는 분명 새로운 땅을 밟았지만,
그게 무엇인지 끝까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믿고 싶은 것만 믿은 인물이었죠.
한 사람의 집착과 오해가 세계지도를 바꾸고,
그 결과가 수세기 동안의 식민지 역사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단순한 해양 탐험 이야기 이상의 깊은 울림이 있는 에피소드라고 느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