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제로 존재했던 해적공화국, ‘리버티아’

반응형

 

실제로 존재했던 해적공화국, ‘리버티아’

“진짜 해적이 민주주의를 실현했다고?”
“카리브 해나 마다가스카르에 ‘해적 나라’가 있었단 말이야?”
“이게 소설이 아니라 실제 역사라고?”

우리는 보통 해적이라 하면
보물과 약탈, 잭 스패로우, 카리브 해 정도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17세기 실제 역사 속에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자유 공동체”**를 만들고자 했던 해적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세운 그 전설 같은 나라가 바로 리버티아(Libertatia).

이 이야기는 반쯤은 전설 같고, 반쯤은 실존했던
가장 자유롭고 가장 무정부적인 나라에 대한 기록입니다.

17세기 마다가스카르 해안에 위치한 자유로운 해적 공동체 리버티아의 상상 장면. 바다를 배경으로 해적들이 모여 회의하거나 서로 협력하는 모습


🏴‍☠️ 리버티아란?

항목 내용

국가명 리버티아 (Libertatia 또는 Libertalia)
위치 아프리카 동부 마다가스카르 섬 북부 추정
설립자 선장 미션(Captain James Misson)
설립 시기 17세기 후반 (약 1680년대)
특징 계급 없는 해적 공동체, 민주적 운영, 종교·인종 평등 지향

🧭 어떻게 생겨났을까?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프랑스 출신의 선장 제임스 미션
카톨릭의 위선과 제국주의를 비판하며
신념 있는 해적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항해를 시작했다고 해요.

  • 전리품은 공동 분배
  • 선장은 투표로 선출
  • 인종, 출신, 과거 직업에 상관 없이 모두가 평등

→ 이러한 정신으로 마다가스카르 북부 해안에 자유 도시 리버티아를 세웠다고 전해집니다.


📜 리버티아의 특징

항목 내용

정치체계 민주주의 기반 – 선장과 대표는 투표로 선출
재산 모든 전리품은 공동 분배
법과 질서 개인의 자유 존중, 폭력 금지, 종교 자유 보장
인종 평등 흑인 해방 노예, 아랍인, 유럽인 모두 같은 시민 자격
종교 종교 강요 금지, 무신론 허용

📌 17세기 당시 유럽의 왕정 사회와 비교하면,
거의 ‘유토피아’ 수준의 공동체였죠.


❗ 정말 존재했을까?

이 이야기는 1724년에 출판된 『해적들의 일반사(General History of the Pyrates)』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저자: 캡틴 찰스 존슨(Captain Charles Johnson)
→ 일부 학자들은 이 저자가 **다니엘 디포(『로빈슨 크루소』 작가)**일 것이라 추정합니다.

그래서 아직도 논란은 있습니다:

주장 근거

실존했다 일부 고지도에 관련 도시가 표시됨, 당시 해적 왕국 존재 가능성 높음
허구다 출처가 불명확, 전설처럼 과장된 표현이 많음

✔️ 하지만 마다가스카르 북부에 해적 공동체가 실제 존재했다는 다른 기록들도 많아,
리버티아도 완전히 꾸며낸 이야기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 문화 속 리버티아

  • 어쌔신 크리드 4: 블랙 플래그(게임)
    → 리버티아의 해적 이상향을 모티브로 제작
  • 드라마 & 소설
    → 해적의 자유 정신, 유토피아 사회, 무정부주의적 이상 세계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

✅ 마무리 요약

  • 리버티아는 17세기 해적들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자유 공동체 국가
  • 마다가스카르에 위치, 평등·민주·무신론 지향
  • 모든 시민은 인종과 출신 상관없이 평등하게 대우
  • 실존 여부는 아직 논란이 있지만, 당시 해적 사회의 정신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인정받음

✍️ 내 생각

리버티아 이야기를 보면,
단순히 해적이란 존재를 ‘악당’으로만 보긴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오히려 그들은 기존 질서에 반기를 든 급진적인 실험자였고,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지금의 민주주의나 사회 정의 개념과도 연결되어 보입니다.
실제로 존재했든, 이상향이든 간에
리버티아는 해적판 유토피아로 충분히 매력적인 이야기라고 느껴졌어요.

반응형